역사문제연구소

활동
  • 강좌
  • 역사문제연구소는 다양한 주제와 열린 토론 속에서 전문연구자와 일반 시민이 함께 역사를 고민할 수 있는 강좌를 마련합니다. 창립 이래 연구소는 진보적 학문연구의 성과를 널리 알리기 위한 활동을 벌여왔으며, 연구작업이 역사연구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공유해야 하는 것이라는 차원에서 대중활동에 주력해 왔습니다.

    1987년 9월 ‘한국사교실’을 시작으로, 역사문제연구소의 강좌는 당대의 사회적 쟁점에 대응하는 주제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한국사교실’은 온라인 교류가 없던 시절부터 역사인식의 대중화와 민주화를 위한 중요한 창구로 기능했습니다. 강연을 토대로 한 단행본이 기획 출판되기도 하였으며, 참가자들은 ‘바른 역사인식과 실천을 위한 모임(바실모)’과 같은 모임을 결성, 매주 공부모임을 진행하며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역사문제연구소의 강좌는 매해 새로운 주제와 기획으로 마련되며, 다양한 세대의 연구자 및 시민들이 함께 호흡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역사 강좌를 필요로 하는 곳에 찾아가 함께 강좌를 기획하고 진행하기도 합니다. 언제든 여러분의 제안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 역사기행
  • 역사문제연구소는 근현대 역사의 현장을 직접 체험하며 현재적 의미를 살피는 역사기행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합니다. 강화도 답사에서 시작된 역사문제연구소의 ‘역사기행’은 다양한 방식과 주제로, 다양한 문제의식을 지닌 연구자들과 함께 진행되어 왔습니다.

    역사기행은 새로운 차원에서 역사적 공간을 바라보고, 나아가 공간에 얽힌 ‘역사’의 의미를 물으며, 그 시공간을 채워 온 사람들의 삶을 살펴보려 합니다. 함께 걸어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 토론마당
  • 역사문제연구소에서는 매년 2∼4 차례 비정기적으로 토론마당을 열어 역사학과 인접 학문 분야의 주요 쟁점을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토론마당은 단지 아카데미즘 안에서만 전개되는 토론을 지양하고 학술적인 쟁점과 논의들과 현실 사회와의 고리를 마련할 수 있는 가교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토론마당에 역사 연구자만이 아니라 시민 여러분들께서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시기를 기대합니다.

  • 특별기획
  • 역사문제연구소는 2013년 정전 60주년 특별기획 “역사, 평화를 이야기하다”를 시작으로, 특별주제 아래 세미나, 영화상영회, 역사기행, 토론회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는 연속기획사업을 진행했습니다.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보다 많은 이들과 역사를 고민하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2014년에는 베트남 파병 50주년 행사 “베트남 전쟁, 다양한 경계 넘기”를, 2015년에는 해방70주년 연속기획 “해방”을 진행했습니다. 2017년에는 연속기획 “혁명”이 진행됩니다.

  • 기획모임
  • 역사문제연구소는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우리 역사와 현실 속에서 회원 여러분과 함께 인식하고 고민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한 여러 형태의 모임을 기획하고 지원합니다.

    모임은 역사연구자들과 시민들이 함께 만나고 공부하고 토론하는 장입니다. 책과 영화도 함께 보고, 대화도 나누며 사람들을 알아가는 모임의 자리는 모든 분에게 열려 있습니다.

2022년도 기획강좌 "의료, 우리의 삶과 만나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2-03-10 조회수 : 1,493

본문

9ee6a71137fe34025b65e3650d796288_1646874363_3582.jpg
 


이번 연속강좌에서는 근대 이후 한국의 보건의료 체제가 형성된 역사를 통해, 현재 한국 보건의료의 특성을 조망합니다. 더불어 아픈 사람과 의료 노동자 등 한국의 시민들이 실제로 경험해온 의료의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모습도 탐색합니다. 이를 통해 역사적, 제도적, 일상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한국 사회가 시민의 건강권과 잘 아플 권리를 지켜나갈 수 있는 길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보고자 합니다.

-----------

일시: 2022. 4. 6일부터 매주 수요일 7~9시 (Zoom)

1: 근대의료, 한국에 정착하다(4/6) / 강사: 박윤재(경희대학교)

한국에 근대의료가 도입되어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듣는다. 근대의료는 서양에서 들어왔지만, 한국 사회가 이를 어떤 방식으로 수용했는지 그 구체적 역사에 주목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근대 의료가 어떤 형태로 정착했고 의료와 사회가 어떻게 서로를 규정해 갔는지 돌아본다.

 

 

2: ‘잠재적 위협으로 보균자 각인시키기: 조선총독부의 보균자 정책(4/13) / 강사: 백선례(국사편찬위원회)

보이지 않는 병균이란 개념도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보균자를 찾아내고 격리시키고자 했던 식민지 방역 당국과 제대로 된 설명 없이 강압적으로 멀쩡한 사람을 데려가는 것처럼 느꼈던 조선인들. 방역 정책 안에 보균자를 포섭하기 위해 잠재적 위협으로서 보균자의 존재를 조선인들에게 각인시키려는 총독부의 활동과 언론의 대응을 살펴본다.

 

 

3: 보건의료노조가 만드는 건강한 일터, 환자를 위한 의료 공공성 운동 (4/20) / 강사: 이주호(보건의료노조 정책연구원장)

1998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건설된 산별노조인 민주노총 산하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지난 24년 동안 돈보다 생명을!’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100만 보건의료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인권을 개선하고, 이윤이 아닌 사람을 위한 공공의료를 확충하기위해 싸워왔다. 보건의료노조가 지난 24년 동안 노동자와 환자를 위해 어떻게 싸워왔는지, 성과는 무엇인지, 그들이 만들고자 하는 좋은 보건의료의 미래상,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정의로운 건강대전환 구상이 무엇인지 듣는다.

 

 

4: 우리는 왜 병원에서 죽게 되었나(4/27) / 강사: 강지연(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우리에게는 병원에서 사망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로 여겨지지만 병원에서의 사망이 가정 사망을 추월하게 된 것은 불과 30년 전의 일이다. 본 강연에서는 우선 병원이 죽음의 장소로 수용될 수 있었던 사회적 맥락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병원 사망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연명의료에 초점을 맞춰 한국인들이 병원 사망에 대해 가지고 있는 대중적 공포, 의료계의 방어진료, 죽음에 대한 법의 개입을 역사적으로 살펴본다.

 


▣ 참가비 : 각 강의 신청시 1만5천원, 전강 신청시 4만원 (후원회원 20% 할인) / [신한은행100-012-850436, 예금주: 역사문제연구소]
▣ 모든 강의는 줌(Zoom)으로 진행됩니다. 참여 링크는 신청이 확인되신 분들께 행사 전날 발송해 드릴 예정입니다.
▣ 문의 : kistory@kistory.or.kr / 02-3672-4191
[이 게시물은 역사문제연구소님에 의해 2022-04-29 16:44:58 알림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