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연구소

활동
  • 민중사반
  •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은 2005년 가을에 결성되었습니다. 애초에는 역사문제연구소의 한일민중사 연구 교류를 담당할 단위로서 조직되었는데, 차차 독자적인 반으로 성장하여 이제 한일 교류가 민중사반의 하나의 사업이 될 만큼 성장하였고, 반 산하에도 작은 연구팀들이 만들어져 활동하고 있습니다.

    30여명에 이르는 민중사반원들의 대부분이 한국 근현대사 전공자들이지만, 미술사, 한국문학, 교육학 전공자들도 여기서 활동하고 있고, 반원들의 국적도 한국, 일본, 캐나다, 독일 등으로 다양합니다. 다양한 사람과 주제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이 있다면 그것은 역사적 사실과 사건을 ‘민중’이라는 회로를 거쳐서 다시 본다는 것입니다.

    우리 반에서는 2013년, 그 간 연구성과를 묶어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역사비평사)를 출간하였고, 한일민중사연구 교류의 결과를 정리한 단행본은 2015년 일본에서 『日韓民衆史研究の最前線 -新しい民衆史を求めて』(有志舍)로, 2017년 한국에서 『민중경험과 마이너리티』(경인문화사)로 간행하였습니다.

  • 1950·60년대 연구반
  • 역사문제연구소 1950·60년대 연구반은 60년대 전후, 50년대와 60년대 사이의 변화와 지속에 초점을 맞춰 공동 연구하는 반입니다. 기존에 있던 1950년대 연구반의 발전적 해소의 결과로 만들어진 반으로 2020년 9월 3일 첫 모임을 가졌습니다. 일반적으로 50년대, 60년대처럼 10년 단위로 연구되는 경향 속에서 놓쳐진 부분들이 존재합니다. ‘50년대반’ 50년대를 공부하며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문제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60년대를 함께 볼 때 다르게 파악되는 50년대, 50년대의 맥락 없이는 지나치기 쉬운 60년대를 연속적으로 또 단절적으로 봐야한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새로이 반을 만들었습니다. 1955-1965년을 연구시기로 삼고 있으나 상한과 하한에 큰 제한을 두진 않습니다.

    사회, 보건에서부터 경제, 정치까지 다양한 주제에 관심 있는 반원들이 모여 있는 만큼 특정 자료를 함께 보는 방식의 세미나는 지양합니다. 대신 각자의 문제의식을 보여주는 자료를 소개하거나 글을 발표하는 방향으로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2022년 50,60년대 변화와 지속을 주제로 한 워크숍 개최를 목표합니다. 현재 13명의 반원이 활동 중이며, 함께하실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박사과정 이상)

  • 1960·70년대 연구반
  • 1960·70년대 연구반은 한국사, 한국문학, 과학사 등의 전공자들이 모여 1960~70년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등을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우리 반은 연구소 정기 심포지엄 <평등과 불평등의 역설, 유신체제를 묻는다>(2012.10.13)를 준비하고자 2011년 결성한 유신체제 연구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후 1960년대로 연구 대상을 확대하였으며, 개별 연구자가 관심갖는 주제에 대한 각종 자료들을 엮어 발표하는 형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5년부터는 ‘자본주의 한국 사회 형성’이라는 주제 하에 1년에 두 차례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한독비교사포룸
  •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의 진정한 해결방안은 한반도만의 관점이 아니라 분단 독일을 비교연구하고, 동아시아와 유럽의 맥락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그 해결의 지혜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독비교사포룸은 한국과 독일의 분단 문제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습니다. 2004년 역사문제연구소와 독일 포츠담 현대사연구센터의 국제학술대회를 시작으로 한국사와 독일사의 비교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매월 월례발표회를 개최하며, 지속적으로 한국과 독일 연구자들의 학술교류모임을 가졌습니다.

    독일 문제와 한반도 문제를 검토하며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서는 여러 가지 노력들, 한국과 독일의 반공교육과 통일교육의 문제, 한국과 독일의 여러 가지 형태의 냉전문화, 트랜스내셔널 역사적 시각 등 다양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망을 모색하려 합니다.

  • 교육사 연구반
  • 역사문제연구소 교육사연구반은 2018년 4월에 결성되었습니다. 이후 매달 1회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지면서 새로운 교육사 연구서 및 자료를 읽거나, 연구 주제를 발표하고 토의하는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 8월부터는 역사문제연구소 소속 정식 연구반으로 등록되어 활동 중입니다.

    교육사연구반에서는 좁은 의미의 근현대 한국 교육사 전공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교육사를 주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일제시기를 시작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개항기, 현대사 등 근현대사 전반으로 시야를 넓혀 가고 있는 중입니다. 현재 약 10여 명의 연구자가 연구반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교육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 상호간의 연구 교류 및 문제의식의 공유, 확장을 통하여 연구반원 개개인의 학문적 성장을 도모하고, 나아가 교육사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합니다.

  • 식민지기 연구반
  • 식민지기 연구반은 일제 식민지 시기 역사 전공자들이 모여 공부하는 모임입니다. 2019년도 정기심포지움을 준비한 '만세후 세미나'에서 비롯하여, 2020년 봄 연구반으로 정비하여 출범했습니다.

    '식민지' 혹은 '근대'라는 시기의 여러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관심사와 문제의식을 지닌 이들이 모였습니다. 식민지기의 역사와 현재와의 접점이라는 감각을 찾으며, 기존 연구의 축적에서 더욱 나아간 전망을 모색하려 합니다. 현재는 '전시체제기' 나아가 '해방전후'를 시야에 두고 자료 강독 및 발표의 형태로 매월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술심포지엄: “동아시아 속의 분단 한국 - 유럽 속의 분단 독일”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5-08-19 조회수 : 4,026

첨부파일

본문

동아시아 속의 분단 한국 - 유럽 속의 분단 독일

오는 8월 24, 25일 양일간 성균관대학교(퇴계관 31604) “동아시아 속의 분단 한국 - 유럽 속의 분단 독일”이라는 대 주제로 분단과 냉전의 다층적 의미를 살펴보고 해결 방안을 찾는 학술행사를 개최합니다. 역사문제연구소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한독비교사연구모임이 맡아 주관하고 있습니다.
70년 전, 해방 70년·분단 70년을 맞아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의 진정한 해결방안은 한반도만의 관점이 아니라 분단 독일을 비교연구하고, 동아시아와 유럽의 맥락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때 해결의 지혜를 찾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우리 한독비교사연구모임은 한국과 독일의 분단 문제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10년 전에 시작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매월 월례발표회를 개최해왔고, 몇 차례의 한국과 독일 연구자들의 학술교류모임을 가졌습니다.
이번 행사는 국내 연구모임의 구성원들이 중심이 되어 독일 문제와 한국(한반도) 문제를 검토한 바탕에서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서는 여러 가지 노력들, 한국과 독일의 반공교육과 통일교육의 문제, 한국과 독일의 여러 가지 형태의 냉전문화, 트랜스내셔널 역사적 시각을 통해서 다양한 전망을 모색해 보려고 하는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그 동안 이 분야에 관심을 가져온 전문 연구자들의 발표와 토론의 자리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15년 8월

한독비교사연구모임 공동대표 김귀옥·이진일

--------------------------------------------------------------------------

일시: 2015년 8월 24일(월)~25일(화)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604호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주관: 한독비교사연구모임
후원: 성균관대학교

--------------------------------------------------------------------------

프로그램

* 2015년 8월 24일(월): 퇴계인문관 31604

13:30~14:00  등록
14:00~14:10  개회식
  개회사: 김귀옥 대표(한성대)
  축   사: 정현백 대표(성균관대)
14:10~15:00  제1부 한국 문제와 독일 문제 / 사회: 오제연(서울대)
  독일문제(Deutsche Frage)의 기원과 전개.  정용숙(대구대)
  한국문제(Korean Problem)의 기원과 전개.  박명림(연세대)
15:00~15:20  휴식
15:20~18:00  제2부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 사회: 김귀옥(한성대)
  남북 역사인식 통합의 기준과 실제.  이신철(성균관대)
  통일 후 분단독일의 역사 새로쓰기.  이진일(성균관대)
  인민: ‘냉전’의 사유와 분단 정체성, 그 너머.  한성훈(연세대)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분단극복정책 비교: '성리학적 구성주의'와 기호학 이론의 적용과 함께.  노명환(한국외대)
  *토론: 김성보(연세대), 이혜령(성균관대)

--------------------------------------------------------------------------

* 2015년 8월 25일(화): 퇴계인문관 31604

10:00~12:00  제3부 분단과 통일, 교육 / 사회: 김성보(연세대)
  탈냉전시대 통일교육 속 반공·반북과 통일의 딜레마와 극복과제.  김귀옥(한성대)
  탈냉전기 통일 독일 반공교육의 변화와 쟁점.  유진영(한국외대)
  *토론: 박찬석(공주사대), 한운석(튜빙겐대)
12:00~13:15  오찬
13:15~15:15  제4부 냉전의 문화 / 사회: 이진일(성균관대)
  1960년대 한국 대학축제의 정치풍자와 반식민주의.  오제연(서울대)
  냉전과 종교: 한국전쟁 이후 기독교와 반공주의.  윤정란(서강대)
  신좌파에서 뉴라이트로: 독일 68세대의 기억과 이념의 변화.  윤용선(한성대)
  *토론: 조형근(한림대),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15:15~15:30  휴식
15:30~18:00  제5부 트랜스내셔널 역사적 시각과 전망 / 사회: 박후건(경남대)
  냉전 속의 한독 에큐메니칼 협력: 1970년대와 80년대를 중심으로.  한운석(튜빙겐대)
  독일 통일이후 동독지역 고용체제 전환의 사회적 과정: 북한에의 함의 모색.  박명준(한국노동연구원)
  동아시아와 유럽의 역사 대화.  신주백(연세대)
  *토론: 김연철(인제대), 신종훈(경상대)


*** 첨부된 웹자보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게시물은 역사문제연구소님에 의해 2017-07-30 15:35:10 알림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