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연구소

활동
  • 정기심포지엄
  • 역사문제연구소는 매년 가을 해당 연도의 대주제 아래 정기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정기 심포지엄은 역사문제연구소의 상임 연구원들의 주도 아래 1년 정도 기획과 준비모임, 예비발표를 거쳐 정기심포지엄 본 발표가 이루어집니다.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4·19 혁명과 5·16 군사쿠데타의 연속성, 한일협정 재조명, 새로운 역사연구 분야로 주목 받고 있는 가족사 연구까지 역사문제연구소는 매 시기 중요한 주제를 심포지엄 주제로 선정해 연구와 발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제에 따라 역사학계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문학과 사회과학 등 인접학문 분야 연구자들의 참여도 활발합니다.

    정기 심포지엄에는 연구소 후원회원들이 초청되며 역사에 관심있는 이들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공동심포지엄
  • 역사문제연구소는 개방적 역사연구, 학문간 소통, 시대의 요구에 민감한 공동연구를 만들어내기 위해 공동심포지엄을 기획, 개최하고 있습니다.

    공동심포지엄은 연구소 창립 직후부터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며 3·1운동이나 제주 4·3 사건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가 이를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최근의 예를 들면, 2012년에는 한국역사연구회, 역사학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와 함께 유신선포 40년 역사4단체 연합학술대회– 역사가, 유신시대를 평하다 –를 개최하였습니다. 역사교육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교과서 서술 공동 분석, 사회 현안인 세월호 참사 이후 공동 포럼 등도 진행하였습니다.

    다양한 역사학 단체와의 공동 연구 및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역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그리고 평화와 인권, 맹목적 개발 중단 등 현실의 문제를 진단하고 실천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소는 앞으로도 꾸준히 공동 학술행사를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 간행사업
  • 역사문제연구소는 역사대중학술지 『역사비평』(연 4회)과 한국근현대사 전문학술지 『역사문제연구』(연 2회)를 간행합니다. 『역사비평』과 『역사문제연구』 편집위원회는 학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되며, 늘 새로운 기획을 통해 역사연구를 독려하고 그 성과를 사회와 나누려 합니다.

    또한 연구소는 다양한 단행본 출판작업을 진행해왔습니다.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북한현대사』, 『20세기 한국사』 시리즈는 대표적인 한국사 개설서입니다.

    홈페이지의 ‘간행물’ 메뉴에서 연구소가 만든 책들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9년 정기심포지엄 <만세후의 시대: 3․1운동 이후의 '융화'와 '불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9-11-04 조회수 : 2,040

본문

 

 

738a9a631362ebd3a5667715b2742ab4_1572853532_0547.jpg

 

 모시는 글

 

역사문제연구소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3·1운동 이후의 시대, 즉 ‘만세후의 시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3·1운동은 일제에 대한 전국적 규모의 저항이었던 동시에 조선과 조선인의 삶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정치적 · 사회적 운동이었습니다. 우리는 이번 정기 심포지엄을 통해 ‘만세가 열어낸 시공간’에 집중해보고자 합니다. 3·1운동 자체보다 그것이 열어놓은 “삶”을 살펴보려는 것입니다. ‘만세후의 시기’, 그 끝은 어디일까요? 3·1운동의 파급력은 어디까지 미치는 것일까요? 그리고 만세와 그 이후를 살아가는 주체들은 어떤 정치적·사회적 선택을 하였을까요?

 

우리는 이러한 고민들을 하며 각자의 주제에 ‘만세후의 시대’를 녹아내려 했습니다. 1부에서는1920년대라는 시공간의 이미지를 ‘만세후의 시대’로 새롭게 보아 이 시기의 통치와 정치의 관계를 다각도로 포착하고자 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만세후의 시대’가 만세를 ‘함께’ 경험한 주체들의 ‘융화’와 ‘불화’, 그리고 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졌음을 살펴보려 했습니다. 이로써 ‘만세후의 시대’의 국가와 사회가 어떤 목적으로 또한 어떤 전략으로 자신들의 위치를 서로에게 인지시키고자 하였는지, 식민지 조선의 주체들이 3·1운동의 자장 속에서 어떻게 움직였는지, 나아가서 그 자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 또는 벗어나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에 대해 고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게시물은 역사문제연구소님에 의해 2019-12-05 11:16:20 알림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