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연구소

이야기들

2020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외부인사 간담회 '역사X민중 - '민중신학'의 과거와 현재-'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0-07-07 조회수 : 4,895

본문

 

 

f66d9502904c721225d07abefa1ffb9e_1594173101_5577.jpg
 

 

 

2020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외부인사 간담회

 

 

역사X민중

-‘민중신학의 과거와 현재-

 

 

* 일시: 2020718() 오후 4~6

* 장소: 역사문제연구소 관지헌(5)

* 사회: 허수

* 초청인사: 정용택

- 3시대 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

- 한신대 신학과 기독교사회윤리학 전공 박사수료

- 진보평론편집위원, 계간 말과활() 편집위원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사전 신청을 받아 진행합니다.

(현장 참석 15, 온라인 화상회의 참석 20. 민중사반 반원 제외)

#온라인 참석 희망자의 경우, 신청이 완료되면 작성해주신 메일주소로 초대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간담회 관련, 온라인 화상회의 관련 문의사항은 역사문제연구소로 연락 바랍니다.(kistory@kistory.or.kr)

#신청링크 : https://forms.gle/ygRLZu5wn24RLqRx9

 

 

<간담회 주제>

 

소개

- 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의 과거와 현재: ‘젊은 민중신학자들의 모임부터 최근의 변화

- 역사문제연구소와의 만남

 

2. 민중신학의 형성과 1970~80년대 활동

- 1970년대 중반 민중론한신계열 (1세대 민중신학의 형성)

- 1970년대와 80년대 민중론 연속과 차이 (2세대 민중신학의 형성)

- 1990년대 이후의 민중신학: 3세대 민중신학의 형성과 포스트-3세대 민중신학의 모색

- 민중신학과 민중사학의 관계: 기독교와 과학적역사학의 공존

- 전후 재건, 독재 및 개발 비판과 저항 활동

 

3. ‘민중론에 대한 비판과 전망: “‘민중은 유효한가라는 질문은 여전히 필요한가

- ‘변혁주체로서의 민중론이 가진 한계점: 2000년대 역사학계의 새로운 민중사제기

- 다양한 주체들의 삶, 신앙, 욕망을 해석할 방법

- ‘민중개념과 민중론의 역사를 통한 소통의 가능성

 

4. ‘민중의 고통과 학문적 실천

- 무교회주의의 공동체와 의미: 협동조합 및 사회적경제 현장에서 전개되고 있는 과거 민중교회의 비판적 계승으로서 선교적 교회운동에 대하여

- 차별과 혐오에 대응하는 신학과 역사학 전망

 

 

 

<정용택의 저서>

 

왜 고통이 중요하며, 왜 고통이 문제인가?,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공저, 2018)

7계명 도둑질하지 말라: 악마는 뒤처진 자부터 잡는다, 가장 많이 알고 있음에도 가장 숙고되지 못한 십계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공저, 2018)

그들이 교회로 간 까닭은?: 박정희 정권기 한국 복지 체제 형성 과정에서 도시 교회의 역할과 기능, 당신들의 신국: 한국 사회의 보수주의와 그리스도교(공저, 2017)

광장의 안과 밖에서 본 지배와 민주주의. 말과활12(2017).

사회질서의 변동과 비판의 과업에 대하여. 말과활14(2017).

신정(神政)-정치적 비평인가, 물신(物神)-비판적 신학인가. 진보평론72(2017).

세월호를 해석하는 네 가지 프레임: 사고, 사건, 사태, 그리고 사화에 관하여,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공저, 2016)

묵시(默示)의 관점에서 본 오늘날의 정치신학 논쟁. 자음과모음31(2016).

우리 시대 빈곤의 동학, 배제와 통합의 이중성. 가톨릭평론6(2016).

발전(發電)의 믿음, 발전(發展)의 욕망: 물신숭배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의 원자력 낙관주의, 종교문화비평28(2015).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일베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내일을 여는 작가67(2015).

도덕이 사라지는 그곳으로 영성은 가야 한다: ‘사회적 영성을 말하는 것의 어려움에 관하여, 사회적 영성 - 세월호 이후에도 은 가능한가(공저, 2014)

사회적 상상계에서 사회적 시민권으로. 말과활3(2014).

사회적 타살인가, 사회의 타살인가: 우리 시대 불가능성의 사회론(社會論)’, 자음과모음24(2014).

국가란 무엇인가. 말과활5(2014).

정세적 조건에 의해 강제된 개입의 시간: 세월호 참사의 역사적 현재성에 관하여. 자음과모음25(2014).

급진민주주의와 비시민: ‘구성적 외부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 급진민주주의 프로젝트: 비판과 모색(2013)

“Why Were They Headed for Church? Roles and Functions of Urban Church during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System of Korea in the Park Jung-hee Administration,” <Urban Aspirations of Seoul: Religion and Megacities in Comparative Studies>,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tudy of Religious and The Seoul Institute, 26-27 June 2013.

21세기 민중신학 - 세계 신학자들, 안병무를 말하다(공역, 2013)

민중신학자 바울, ‘도시국가 서울에서 정의를 외치다, 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엮음, 박근혜 정부의 탄생과 신학적 성찰(2013)

자기를 이야기하는 청(), 세계와 적대하는 인간, 잉여의 시선으로 본 공공성의 인문학(공저, 2011)

종교가 되어버린 광장의 애도에 대하여: 우울증의 스펙터클, 혹은 집합 의례로서의 애도와 추모, 당대비평 기획위원회 엮음,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자의 죽음(공저, 2009)

촛불의 정치학, 광장의 종교학한국 시민사회의 종교적 기원과 위기, 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엮음, 촛불과 광장, 정치와 종교(공저, 2009)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그리고 종교적인 것: 촛불에 관해 너무 많이 하지 않은 말들, 당대비평 기획위원회 엮음,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공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