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연구소

이야기들

역사문제연구소 2021년 상반기 직무연수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1-04-14 조회수 : 4,849

본문

85e09da398e4535eef3383846ab9b908_1618376851_1303.jpg
 

신청링크 : https://forms.gle/4BX55sq2G3UsNTBp7

-----

 

2021년 상반기 직무연수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며, 신청 접수는 414()부터 시작합니다.

 

<역사문제연구소 2021년 상반기 직무연수 계획서>

1. 연수 종별 : 직무연수(전국단위, 초중등교원, 지정번호 : 서울교육2021-1029)

2. 연수과정명 : 역사교과서가 담지 못한 196070년대 사회사

3. 연수과정 구분 : 전문성향상과정(교과지도)

4. 연수운영 방법 구분 : 원격

5. 연수 장소 및 연수 인원 : 온라인 선착순 초,중등교사 40

6. 연수 기간 : 2021510(), 513(), 517(), 520(), 524() 19:0021:20

7. 연수 이수 시간 : 15시간 

8. 연수 목적 :

196070년대는 지금의 한국현대사의 원형을 주조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영역에 걸쳐서 지금의 한국현대사는 이 시기의 역동적인 변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독재와 저항으로 상징되는 민주주의운동의 역사, 개발과 독재, 재벌과 노동자의 성장과 긴장관계로 설명되는 경제영역의 변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구이동과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무차별적 개발과 도시화, 교육열의 폭발과 이를 통한 신분(계층)이동 등이 그 좋은 사례이다.

하지만 196070년대는 중,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 가장 관심이 높은 시기이면서도 여전히 가르치기 어려운 시기 중의 하나이다. 그 이유는 지금 현재의 우리의 삶과 떼어놓을 수 없는 시기이면서 아직도 그 해석과 평가에서는 의견이 엇갈리거나 치열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는 예민한 주제들이 많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관련 주제나 인물에 대한 긍, 부정의 평가가 학생들에게 미칠 영향이 우려되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제대로 된 설명이나 평가를 학생들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압축성장과 민주화 속에서 배제되고 외면되었던 인권과 여성 문제 또한 현장교육이나 교육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위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이번 연수에서는 196070년대를 여공(젠더), 학생, 재벌, 인권(배제와 감금), 도시화(서울) 5개의 주제를 사회사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좀더 깊고 넓게 조망해 보고자 한다. ‘여공으로 불리워졌던 여성노동자들이 공장 및 일상생활, 불평등한 젠더관계를 극복하고 능동적인 주체로 변화하는 과정은 기존의 남성 중심의 노동서사를 벗어나서 이 시대의 노동역사를 새로운 시각에서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성과이다. 폭발적인 고등교육열로 급속하게 늘어난 학생들은 엘리트로서의 자부심을 갖고 입시와 진학을 통해 계층상승을 꾀하면서도 권력의 모순과 부패에 맞서 저항하고, 또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며 창조하는 다층적인 존재로서 현재의 권력 기득권 세대의 역사와 내면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주제이다. ‘서산개척단을 비롯하여 이 시대에 행해진 광범위한 하층민에 대한 배제와 감금을 통한 인권 탄압의 역사는 학생과 저항엘리트 중심으로 이해되었던 이 시기의 국가폭력과 인권의 역사를 새롭게 해석하고 시야를 넒히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1960년대 후반 이후의 본격적인 도시화로 인한 현대도시 서울의 탄생은 현재의 수도권 인구집중과 주거문제, 도시빈민, 부의 불평등 문제의 역사적 기원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신 연구흐름과 성과, 그리고 문제의식이 충실히 소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수에서는 관련 주제의 생생하고 입체적인 전달을 위해 사진 자료와 문헌자료뿐만 아니라 문학작품, 구술자료 등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권과 평화를 지향하는 학교 역사교육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를 모색해볼 것이다. 또한 이번 직무연수를 통해 현장 선생님들과 연구자들이 더 적극적으로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성과들이 학교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최종적으로는 역사교과서 서술에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9. 과정별 교과 편성

교과목

교수 요목

시수

수업방법

강의

참여

실습

여공, 노동하는 여성

1960-70년대 박정희 정권 시기 주변부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공장 및 일상생활, 불평등한 젠더관계를 극복하고자 능동적인 주체로 변화하는 일련의 역사에 대해 당시 여성들의 역사를 통해 학습하고자 함.

3

3

 

 

학생들, 1960~70년대를 살다

박정희 정권 하 1960~70년대 한국 학생들이 보여준 다양한 모습들, 예를 들어 엘리트로서의 자부심을 갖고 입시와 진학을 통해 계층상승을 꾀하면서도 권력의 모순과 부패에 맞서 저항하고, 또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며 창조하는 모습 등을 다층적으로 보여준다.

3

3

 

 

재벌과 박정희정부

본 강의는 196070년대 한국의 경제 주체들의 활동과 성장방식에 초점을 두고 한국자본주의의 역사의 변화 궤적과 기원을 살핀다. 냉전질서라는 국내외 정치경제구조의 구체적 작동 속에서 정부의 경제정책, 기업의 자본축적, 그리고 노동질서가 어떻게 어우러지고 충돌하면서 당대 한국자본주의의 내용을 채우는지 그 흐름과 특징을 이해한다.

3

3

 

 

배제와 감금-고아, ‘부랑인’, 여성 수용 문제

1960~70년대 특정 주체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한다는 명목으로 다양한 방식의 배제와 감금이 이루어졌다. ‘서산개척단은 이번 과거사위원회의 진상규명의 핵심과제가 되었고, 그 밖의 수용시설 또한 최근 연구들로 그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3

3

 

 

현대도시 서울의 탄생과 성장의 사회사

박정희 정권기의 가장 큰 사회변화 중 하나는, 이촌향도로 인한 서울 공화국의 탄생이었다. 이 강의에서는 이 시기 서울의 도시정책과 전국적인 인구이동을 통해 탄생한 현대도시 서울에서 벌어진 도시공간의 확장과 위계화, 도시빈민의 삶과 중산층의 탄생 등 사회사적 변화에 대해 다룰 것이다.

3

3

 

 

 

10. 세부 교과 진행표

. 등록 및 개강식 : 2021510() 18:30~19:00

. 수료식 : 2021524(), 21:20~22:00

. 세부 교과 진행표

           

날짜

교 시

1

(510)

1교시

2교시

3교시

19:0019:40

19:5020:30

20:4021:20

여공, 노동하는 여성

여공, 노동하는 여성

여공, 노동하는 여성

<수업사례 논의 및 질의응답>

김원

김원

김원

2

(513)

1교시

2교시

3교시

19:0019:40

19:5020:30

20:4021:20

학생, 196070년대를 살다

학생, 196070년대를 살다

학생, 196070년대를 살다

<수업사례 및 질의응답 병행>

오제연

오제연

오제연

3

(517)

1교시

2교시

3교시

19:0019:40

19:5020:30

20:4021:20

재벌과 박정희정부

재벌과 박정희정부

재벌과 박정희정부

<수업사례 및 질의응답 병행>

이정은

이정은

이정은

4

(520)

1교시

2교시

3교시

19:0019:40

19:5020:30

20:4021:20

배제와 감금-고아, ‘부랑인’, 여성 수용 문제

배제와 감금-고아, ‘부랑인’, 여성 수용 문제

배제와 감금-고아, ‘부랑인’, 여성 수용 문제

<수업사례 및 질의응답 병행>

김아람

김아람

김아람

5

(524)

1교시

2교시

3교시

19:0019:40

19:5020:30

20:4021:20

현대도시 서울의 탄생과 성장의 사회사

현대도시 서울의 탄생과 성장의 사회사

현대도시 서울의 탄생과 성장의 사회사

<수업사례 및 질의응답 병행>

송은영

송은영

송은영

 

[강사 소개 및 대표 논저 목록]

 

1강 김원(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여공 1970, 그녀들의 역사(이매진, 2006) ; 박정희시대의 유령들(현실문화, 2011) ; 잊혀진 것들에 대한 기억-1980년대 대학의 하위문화와 대중정치(이매진, 2011) ; 876월항쟁(책세상, 2009)

 

2강 오제연(성균관대학교 조교수)

19601971년 대학 학생운동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4월혁명의 주체들(공저), 역사비평사, 2020 ; 1970년 전후 한국 학생운동의 새로운 양상과  68운동의 ‘스튜던트 파워, 역사비평 123, 2018 ; 1960년대 한국 대학축제의 정치풍자와 학생운동, 사림 55, 2016

 

3강 이정은(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박정희 정권 시기 대자본의 외자도입과 금융기관 진출 연구(19601973),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간첩시대』(공저) (책과함께, 2020) ; 1950년대 후반 경영능력 제고 시스템의 가동과 ‘현대경영자 양성, 『한국사연구』188, 2020  ; 대자본의 정유업 진출경쟁과 정책 견인, 역사비평122, 2018

 

4강 김아람(한림대학교 조교수)

사북항쟁구술자료총서 1~3(2020, 공저) ; 과거사 청산을 위한 국가폭력 연구 : 노역동원을 중심으로(2019, 공저) ; 1960~80년대 사회정화와 여성 수용(2021) ; 배울 권리와 의무교육의 교차, 1950~60년대 전반 '혼혈'아동 교육, 역사비평133(2020) ; 1960년대 개척단의 농지조성과 갈등 구조, 사학연구131(2019)

 

5강 송은영(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원)

『서울 탄생기: 1960~70년대 문학으로 본 현대도시 서울의 사회사』(푸른역사, 2018) ; 「사이키델릭 문학, 그리고 변방 히피들의 뒤틀린 성: 68정신의 문화적 영향과 1970년대 문학의 대항문화적 실천, 『역사비평』 2018년 여름호(123) ; 민족문학이라는 쌍생아: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민중론과 민족주의, 『상허학보』 46, 2016 ; 「『문학과지성』의 초기 행보와 민족주의 비판, 『상허학보』 43, 2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