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연구소

이야기들

한겨레문화센터와 함께하는 현대사 특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2006-07-21 조회수 : 13,897

본문


주제 : 남북관계의 역사

강사 : 서동만 교수
기간 : 2006.07.26~2006.08.23
시간 : 수요일 19:00~21:00
수강료 : 10만원
수강신청 및 문의 : 역사문제연구소 02)3672-4191 kistory@kistory.or.kr
                          한겨레문화센터 02)3279-0921  kant@hani.co.kr 
                                               http://www.hanter21.co.kr/


강좌개요
이번 강좌는 몇가지 특색을 갖고 있다. 우선 남북한사회의 변화와 국제사회의 변화 중 어느 한쪽에 편향되지 않은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종래 핵위기를 비롯한 남북관계의 핵심사안은 북미관계의 측면에서 파악되는 측면이 강하였다. 이에 대해 이번 강좌에서는 북한체제의 변화와 남한의 민주화 속에서 진행된 남북상호관계의 변화에 주목하여, 남북관계를 움직이는 남북 양사회의 내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짚어줄 것이다. 두 번째 남북한평화체제가 남북만의 문제가 아닌 동아시아 전체의 미래와 연결되어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남북관계는 남북한이 당사자임에도 당사자의 의지만으로 바뀔 수 없는 현실이다. 미국의 세계전략, 일중관계, 미중관계가 얽혀있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즉 남북관계의 해결은 남북을 둘러싼 열강의 이해관계를 함께 조절해야 하는 복잡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강좌에서는 이렇게 복잡하게 얽혀있는 열강의 이해관계를 조절하고, 장기적으로 남북한 평화체제를 건설하기 위한 거시적인 틀 - 21세기 동북아시아 평화-번영체제- 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남북한의 평화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지만, 또한 남북한의 평화로만이 달성될 수 있는 동북아시아평화체제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넓혀줄 것이다. 세 번째로 이번 강좌는 남북관계의 이론과 현실을 아울러 살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된다. 기존의 남북관계에 대한 연구는 통일부 등 정부 측 주장과 학계의 의견이 엇갈리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 측 주장은 북한 및 국제사회에 대한 풍부한 정보에 기반하고 있지만, 남북관계의 비젼에 대해서는 현실추종적이었고, 학계의 의견은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현실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이번 강좌를 진행할 서동만교수는 북한학계를 대표하는 중견연구자이자 참여정부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으로서 남북관계의 현실을 누구보다도 깊게 파악한 경험을 갖고 있다. 남북관계의 이론과 현실을 모두 파악하고 있는 서동만교수의 경험은 양쪽 모두에 대한 균형감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라 생각된다.

강사소개
서동만교수
약력
서울대 사회대 정치학과 졸
일본도쿄대 대학원 국제관계학과 석사, 박사
일본 츠다주쿠대 국제관계학과 강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객원 연구위원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참여정부 대통령직 인수위 통일 외교안보분과 위원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
현재 상지대 인문사회대 교수
주요논저
서동만, <북한의 전통과 근대>,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1950년대 북한의 정치 갈등과 이데올로기 상황>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북한연구에 대한 반성과 과제 : 90년대 연구 성과와 문제점>
<북조선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945-1961>

커리큘럼
남북관계의 역사
제1강 분단과 전쟁(7월 26일)
1. 미소의 분할 점령과 통일적 대응의 실패
2. 남북의 단독정부 수립
3. 6-25전쟁
(국토완정과 북벌통일)
제2강 냉전체제와 분단의 구조화(8월 2일)
4. 전후의 남북대치
5. 50년대 남북의 평화통일론
6. 4-19와 남북관계 : 분단의 동요
(전후의 민주기지 노선과 북진통일 노선)
7. 북조선사회주의체제와 남한자본주의체제의 발전
8. 60년대 냉전적 대립의 체제화
9. 70년대초 아시아데탕트와 남북대화
10. 남북의 권력공고화와 남북관계의 교착
(대남혁명로선과 선건설후통일론)
제3강 냉전체제의 변화와 남북관계의 진전(8월 9일)
11. 북조선사회주의의 정체와 남한의 신군부정권
12. 동아시아의 신냉전 상황과 남북관계
13. 전 세계 냉전종식과 남한의 민주화
14. 남북기본합의서와 남북화해-협력의 개시
(연방제와 연합제)
제4강 분단체제의 동요와 남북 화해-협력의 본격화(8월 16일)
15. 북미관계의 대치와 제1차 북핵위기
16. 북조선의 경제위기와 남한의 IMF금융위기
17. 6-15 정상회담
18. 남북화해-협력의 진전과 제2차 북핵위기
(낮은 단계 연방제와 연합제의 접점)
제5강 한반도평화체제와 통일을 향하여(8월 23일)
19. 남북경제공동체와 한반도평화체제
20. 동북아시아의 평화-번영과 한반도통일

역사문제연구소
02)3672-4191